시공 (16Q) | 1.가설공사 (벤치마크) 2.토공사 (히빙파괴, 보일링파괴) 3.토공사 (지반개량공법-페이퍼드레인, 생석회말뚝공법) 6.철근콘크리트 (ALC 주재료 가지) 7.철근콘크리트 (콘크리트구조물 균열발생시 보강공법 3가지) 10.강구조공사 (내화피복-습식공법정와 종류 2가지) 12.철근콘크리트 (시어커넥터에 사용되는 볼트 - 강재앵커) 13.조적공사 (백화현상 방지대책 4가지) 14.기타공사-석재공사 (접착제-에폭시) 16.금속공사 (Metal Lath, Punching Metal) 17.총론 (관리기법-VE적 사고방식 4가지) 18.총론 (LCC,VE) 22.철근콘크리트 (레미콘 공장을 현장에서 선택할 때 고려사항4가지) 24.강구조공사 (용접기호) 25.지붕&방수공사 (콘크리트 마감옥상 시공순서) 26.기타공사 (유성니스vanish 사용되는재료) |
철근콘크리트 4Q 총론 2Q 토공사 2Q 강구조 2Q 기타공사 2Q 가설공사 1Q 조적공사 1Q 기타공사 1Q 금속공사 1Q 지붕방수공사 1Q |
구조 (6Q) | 4.철근의 인장강도 9.철근콘크리트 강도감수계수 11.플랜지와 웨브의 판폭두께비 19.T부재에 발생하는 부재력 20.단면2차모멘트 계산 23.1방향슬래브, 수축온도철근량&배근개수 |
|
적산, 공정관리, 품질관리 (4Q) | 5.품질관리 (골재의 공극률, 실적률) 8.적산 (콘크리트량, 거푸집면적) 15.적산 (표준형벽돌 1.5B쌓기 벽면적 계산) 21.공정관리 (네트워크 공정표) |
|
기타 |
시공 | ||
1.총론 2.대지, 지반조사 3.가설공사 4.토공사 5.기초, 지정공사 |
6.철근콘크리트공사 7.강구조공사 (철골공사) 8.조적공사 9.목공사 |
10.지붕,방수공사 11.미장,타일공사 12.창호,유리공사 13.금속, PC, 커튼월공사 14.기타공사 |
총론 (시공방식, 계약방식, 입찰방식, 정부와계약방식,관리기법)
- 시공방식
-공동도급의 운영방식 : 공동이행방식 / 분담이행방식 / 주계약자형공동도급방식
- 계약방식
-설계,시공 일괄계약의 장점 3가지
:설계시공의 의사소통 개선
:공사비, 공기 단축
:책임한계명확
-실비청산보수가산 도급종류
실비 / 비율보수가산 = 실비 + 실비*f(비율보수)
실비 / 한정보수가산 = 한정된실비 + 한정된실비*f(비율보수)
실비 / 정액보수가산 = 실비 + F한정된보수
- 입찰방식
-부대입찰제도 / 대안입찰제도
-부대입찰제도 : 발주처가 공종별로 금액비율 정해두고, 입찰자가 그 비율 이상으로 계약하게 될 하도급 계약서를 입찰 시, 입찰서류에 첨부
-대안입찰제도 : 발주처가 제시한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그와 동등하거나 이상의 효과를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등의 내용의 대안을 도급자가 제시하는 제도
- BOT (Build Operate Transfer)
민간 주도하에 사회간접시설을 설계, 시공 후 일정기간동안 시설물의 운영해서 투자금을 회수한뒤 정부에게 시설물과 운영권을 이전하는 형식
-BOO build operate own / BTO build transfer own / BTL★ build transfer lease (완공수, 이전하고 임대료로 투자비 회수)
- 시공계획서 - 환경관리 및 친환경관리(건.산.온.천) : 건설폐기물 재활용계획 및 저감, 산업부산물 재활용계획, 온실가스배출 저감계획, 천연자원사용 저감계획
- 관리기법
-CM for fee : 발주처가 하도급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, CM이 발주처의 대리인역할을 수행하고, 약정된 보수 만큼만 발주자에게 받는다.
-CM at risk : CM이 원도급자 입장으로 하도급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고, 공사시 원가,공정,품질을 관리하여 CM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
-LCC(Life Cycle Cost) : 건축물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설계, 시공, 유지관리, 해체에 이르는 일련과 과정과 제비용
-VE : 발주자가 요구하는 성능과 품질은 보장하면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찾는 공사방법
-VE사고방식 4가지 : 고정관념제거 / 기능중심의 사고방식 / 사용자(발주자)중심의 사고방식 / 조직적이고 순서화된 활동
지반,대지조사 & 가설공사
- 지반조사방법★
-오우거보링 : 오우거를 이용해 토사를 채취하는 연약점토 지반 보링공법
-수세식보링 : 수압을 이용해 토사를 채취하는 굳은 진흙 보링공법
-로터리보링 : 비트를 회전시켜 토사를 채취하는 연약점토 지반 보링공법
- 보링의 목적 3가지 : 시료채취 / 토질주상도작성 / 지하수위측정
- 측정기별 용도
-washington meter : 콘크리트내 공기량 측정
-earth pressure meter : 토압 측정
-Piezo meter : 간극수압 측정
-Dispenser : ae제 계량
토공사 & 기초지정공사
<지반개량>
-페이퍼드레인 : 점토지반에 종이말뚝으로 간극수를 제거하는 탈수공법
-생성회말뚝공법 : 점토지반에서 생성회말뚝으로 간극수를 흡수하는 탈수공법
-샌드드레인 : 점토지반에서 모래말뚝으로 간극수를 제거하는 탈수공법
<터파기공사&공법>
- 언더피닝(Under Pinning) 공법 적용은 언제? : 기존 건축물의 기초를 보강할때 / 기존건축물 가까이 신축공사를 하고자 할떄 기존 건축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
- 아일랜드컷 공법 순서 : 흙막이설치-중앙부굴착-중앙부기초구조물축조-버팀대설치-주변부흙파기-지하구조물완성
- 역타설공법 Topdown 의 장점 3가지★
-1층 슬라브를 먼저 시공해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.
-날씨와 무관하게 공사진행이 가능하다.
-지상과 지하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.
- 지하연속벽(Slurry Walkl)공법의 안정액기능
-굴착벽면 붕괴방지, 굴착토사 분리배출
- 용어
-히빙파괴 : 흙막이 배면의 토압으로 인해 터파기 하부에 흙이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현상
-보일링파괴 : 피압수의 상승으로 인해 터파기 하부에 흙이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현상
<토공사용장비>
- 흙막이벽의 계측에 필요한 3가지 기기 : 변형률계, 지중침하계, 하중계 (변.지.하) ★
- 굴착장비 : 클램쉘 (사질지반굴착, 좁은곳의 수직굴착), 드래그라인,백호 (지반보다 낮은 곳의 굴착)
<말뚝>
- 매입말뚝 중 마이크로 말뚝
: 구조물의 기초, 기초보강, 리모델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강재로 보강된 직경 30cm 이하의 비변위 말뚝
: 시공과정 소음이나 진동이 적고 기존 말뚝공법 적용이 소규모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가능하다.
: 소형시공장비를 이용하기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시공가능, 대부분의 토질조건 적용가능.
<기초와 지정>
- 기초와 지정의 차이점
-기초 : 건축물의 최하부에서 그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구조부
-지정 : 기초판을 지지하기위해 그 아래 설치하는 잡석, 말뚝, 버림콘크리트 등
철근콘크리트
- 철근공사
-VH : vertical horizontal 벽, 기둥 등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한 다음 pc판과 맞물려 토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
-이형철근 :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증진을 위해 표면에 리브나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
-배력근 :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의 직각방향으로 배치하는 보조철근
-온도조절철근 : 온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의한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한 철근
-겹침이음, 용접이음 :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에 의한 이음
-기계식이음 : 연결재(coupler, 커플러)를 이용한 이음
- 거푸집
-와플폼 : 무량판구조에서 2방향 장선바닥판구조가 가능하다록 된 특수상자모양의 기성재 거푸집
-페코빔 : 신축가능한 무지주공법의 수평지지보
-터널폼★ : 벽식철근콘크리트 시공할때, 한 구획의 전체 벽판, 바닥판을 일체로 제작하여 한번에 조립, 해체 가능한 거푸집
-트래블링폼 : 대형시스템화 거푸집으로 한구간 콘크리트 타설 후 다음 구간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푸집
-슬라이딩폼★ : 유닛거푸집을 설치하여 요크로 거푸집을 끌어올리면서 연속해서 콘크리트 타설가능한 수직활동 거푸집
-데크플레이트 : 아연도철판의 절곡제작하여 거푸집으로 사용하며, 콘크리트 타설 후 마감재료로 사용하는 철판
http://realty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18/08/21/2018082102461.html
http://realty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18/08/21/2018082102461.html
한국 아파트가 유독 시끄러운 이유 있었네
사무실이나 학교 건물 등에서 위층 발소리 때문에 신경 쓰이는 경우는 없다. 그런데 아파트에만 들어가면 윗집 아이의 걸음 소리가 ‘쿵쿵’하고 울린..
realty.chosun.com
-스페이서 :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기위해 벽이나 바닥철근에 대어주는 것
-세퍼레이터 : 벽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격리와 긴장재역할을 하는 것
-칼럼밴드 : 기둥 거푸집의 고정, 측압버팀용으로 주로 합판 거푸집에 사용
-박리제 : 거푸집의 탈형, 청소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, 합판 거푸집 표면에 미리 바름
- 시멘트&혼화제 / 골재&물
-시멘트 재령일
- 콘크리트
-조절줄눈 : 지표 등 안정된 위치에 있는 바닥판이 / 수축에 의해 / 표면에 균열이 생길 수 있는데, / 이러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줄눈
-신축줄눈
-시공줄눈
-미끄럼줄눈
-탄산화 : 대기 중의 탄산가스 + 콘크리트내 수산화칼슘 = 탄산칼슘, 알칼리성 소실
-크리프크다 : 습도가크다, 재령짧다, 재하응력크다, 시멘트페이스트량 많다, 부재치수 작다.
-크리프 : 하중의 증가가 없어도 시간에 따라 변형이 증가되는 굳은 콘크리트의 소성변형 현상
-유동화콘크리트 제조방법 3가지 : 공장유동화방법, 공장첨가방법, 현장첨가방법
-한중콘크리트
:물시멘트비는 60% 이하로 / 초기강도 5MPa까지는 보양한다
-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현상★
:화재시 밀실한 조직의 콘크리트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하여 빠져나가지 못해 폭팔하듯이 터지는 현상
-수중콘크리트 : 피복두께 100mm
-섬유보강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 3가지 : 강섬유, 유리섬유, 탄소섬유
-선행냉각 : 매스콘크리트 시공시, 콘크리트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냉각시켜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것
-콘크리트 측압변화 (2회로 나누어서 타설시)
-염분을 포함한 바다모래 골재 사용하는 경우 철근부식에 대한 방청상(anticorrosive) 조치 4가지
: 에폭시코팅철근사용, 철근표면에 아연도금처리, 골재에 제염제 혼입, 콘크리트에 방청제 혼입
-강합성 데크플레이트 구조에 사용되는 시어커넥터 : 합성부재의 두가지 다른 재료간의 전단력을 전달하도록 강재에 용접되고, 콘크리트에 매립된 스터드 같은 존재
-철근콘크리트의 슬래브와 강재 보의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해 강재에 용접되고 콘크리트에 매입된 시어커넥츠로 사용되는 볼트 : 강재앵커
-ALC(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)의 주재료2가지 & 기포제조방법 : 톱밥,경량골재,석탄재 / 기포제
-콘크리트구조물 균열발생시 실시하는 보강공법 : 단면증대공법, 강판접착공법, 철물매입공법&강재앵커공법
-레미콘 공장의 현장에서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유의사항 3가지
: 레미콘-아직 굳지않은 상태로 배달되는 콘크리트(Readymixedconcrete)
: 현장까지의 운반시간&배출시간 / 레미콘 운반차 대수 / 콘크리트 제조능력
철골공사(강구조공사)
- 철골일반, 공장가동, 볼트접합(리벳포함)
-피치, 게이지, 게이지라인
-절단방법 3가지 : 가스절단, 전단절단, 톱절단
- 용접접합
:침투탐상법, 자기분말탐상법, 초음파탐상법, 방사선투과법
-검사항목
-용접전 : 트임새모양 / 모아대기법 / 구속법
-용접중 : 전류 / 운봉( 용접봉으로 용접할 때에 용접선 위에서 용접봉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운봉법) / 용접봉
-용접후 : 침투수압 / 외관판단 / 초음파검사
-맞댐용접 용접기호
-용접의 단점 2가지 : 용접숙련공이 필요하다. 용접부위 결함검사가 어렵다.
-그루브용접(맞댐용접, 맞댄용접, 맞대기용접) : 한쪽 또는 양쪽 부재의 끝을 용접이 양호하게 될 수 있도록 끝단면의 비스듬히 절단하여 용접하는 방법
-필릿용접(모살용접) : 두 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접합한 후, 2장의 판재를 겹치거나, T형, +형의 교차부를 등변삼각형모양으로 용접하는 방법
-스캘럽(scallop) : 철골부재의 용접접합부에 있어서, 용접이음새나 받침쇠의 관통을위해, 또는 용접이음새끼리의 교차를 피하기 위해 설치하는 원호상의 구멍
- 현장세우기(주각부세우기관련), 내화피복
-내화피복 (도장, 건식, 습식, 합성)
*습식공법★ : 화재발생시 강재의 온도상승이나 강도저하로 건축물이 붕괴되지 않도록 강재주위를 내화재료로 피복하는 공법
타설공법(콘크리트, 경량콘크리트)
조적공법(콘크리트블록, 벽돌)
뿜칠공법(석면, 뿜칠모르타르)
미장공법(철망모르타르, 펄라이트 모르타르)
*건식공법
성형판 붙임공법(ALC판)
-기초상부고름질 방법 : 전면바름마무리법 / 나중채워넣기 중심바름법 / 나중채워넣기 십자바름법
https://blog.naver.com/archcafe/36749358
건축시공기술사 기초상부 고름질
건축시공기술사 기초상부 고름질 기초상부 그름질이란.... 기초 상부는 base판을 완전 수평으로 밀착시키기...
blog.naver.com
-주각부의 종류 3가지 : 고정주각, 핀주각, 매립주각★
https://blog.naver.com/honeywings/222047195339
H-형강의 접합 및 이음 상세 / 주각부 / 정밀안전진단
모멘트 전달여부에 따른 접합부 유형 (1) 완전강접합(FR; Fully Reinforced Moment Connection) ...
blog.naver.com
-기둥축소현상 : 강구조 초고층 건축시, 기둥에 발생되는 축소변위
조적공사
-백화현상★ : 시멘트의 수산화칼슘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생기는 벽돌표면의 흰색 결정체
-방지★ : 처마,차양설치로 빗물차단 / 벽돌표면에 발수제 도포 / 흡수율이 작은, 소성이 잘된 벽돌사용
-창대쌓기 : 창 밑에 돌이나 벽돌을 15도 기울여서 옆세워 쌓는 방법
-영롱쌓기 : 벽돌벽등에 장식적으로 구멍을 내어 쌓는 방법
-조적조 블록벽체의 습기침투원인 4가지
:벽돌이나 모르타르의 강도부족
:모르타르바름의 신축 및 들뜨기
:온도 및 습기에 의한 재료의 신축성
:이질재 접합부 불완전 사용
목공사
- 방부처리법
-도포법, 주입법, 표면탄화법, 침지법
- 인공건조법 : 증기법, 열기법, 훈연법
지붕&방수공사
- 멤브레인방수 : 시트방수, 아스팔트방수, 도막방수
: 구조물 외주에 피막을 구성시키는 방수방법.
- 시트방수
바탕처리 - 프라이머칠 - 접착제칠 - 시트붙이기
- 콘크리트로 마감된 옥상에 시트방수시 시공순서 (하단부터 상단으로)
고름모르타르 - 시트방수 - 보호모르타르 - 무근콘크리트 - 목재데크
- 구체방수공법 : 기존의 멤브레인계통의 방수를 하지않고, 수중이나 지하구조물의 콘크리트 강도 증진 및 수밀성, 내구성 향상과 콘크리트 성능개선 효과 동을 동시에 얻고자,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전체를 방수화하는 공법
미장&타일공사
- 용어
-수지미장 : 특수화학제를 첨가한 레디믹스트몰탈에 대리석분말이나 세라믹분말제를 혼합한 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1-2mm두께로 바르는것
-손질바름 : 마감두께를 일정하게 할 목적으로 모르타르로 미리 요철을 처리하는 것
-실러(sealer)바름 : 바름재와 바탕의 접착력 증진을 위해 합성수지 에멀젼 희석액을 바탕에 바르는 것
- 미장재료 기경성 vs 수경성
-기경성 (수축성, 공기중 경화) : 돌로마이트플라스터, 회반죽, 진흙
-수경성 (팽창성, 물속에서 경화) : 석고플라스터, 무수석고플라스터, 시멘트모르타르
창호&유리공사
- 용어
-로이유리 : 열적외선 반사율이 높은 은소재도막 코팅을 해서 방사율, 열전도율은 낮추고 가시관성 투과율은 높인 유래
-단열간봉 : 복층유리의 유리간의 간격유지를 위해 유리 가장자리에 설치하는 열전도율이 낮은 플라스틱 간격재
커튼월공사
- 긴결방식 3가지
: 고정방식, 수평이동방식, 회전방식
- 외관형태에 따른 분류 4가지
: 스팬드럴방식, 멀리언방식, 격자방식, 피복방식
- 조립방식에 따른 분류 3가지
: UNIT WALL, STICK WALL, WINDOW WALL
- 커튼월 공사에서 발생하는 유리의 열파손 매커니즘
: 유리가 두꺼우면 열축적이 커져서 유리가공시에 발생한 국부적 결함에 온도응력이 몰려서 유리가 파손될 가능성이 크다.
금속공사
- 금속재 바탕처리법 (용산인)
: 용제에 의한방법 / 산처리법 / 인산피막법
- Metal Lath★ : 철판에 자름금을 내어 당겨늘린것
- Punching Metal★ : 얇은 철판에 각종 모양을 도려낸것
기타공사
- 석재공사 진행 중 석재가 깨진 경우 이것을 접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접착제 1개 : 에폭시
- 도장공사
: 도료를 표면에 칠하여 도막을 형성시키는 공사를 말하는데, 그 목적은 내습성 ·내후성 ·내약품성을 가지게 하여 방부 ·방청 ·방충 ·방화나 장식을 하는 것이다.
: 유성니스 (Vanish)의 재료 : 희석제, 건성유
<적산>
- 주근의 철근량
- 토량계산 (L=loose/natural, C=condense/natural)★
- 품셈계산
- 붉은벽돌소요량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wgnml5983&logNo=130189707569
[재료와 시공] 4_ 벽돌, 블록, 타일
BRICK : SIZE 190 X 90 X 57 ■ 점토벽돌 장점 - 원적외성 방사로 인체의 신진대사 및 혈액 숭...
blog.naver.com
- 평규준틀, 귀규준틀 (내부간막이벽, 외벽 뻐큐부분)
<품질관리>
- 골재
-잔골재율S/a : 골재의 절대용적합에서 잔골재의 절대용적의 백분율
-조립률FM : 10개 체에 남은 양의 누적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지표
- 골재 흡수율, 비중(비중은 물질의 고유 특성으로서 기준이 되는 물질의 밀도에 대한 상대적인 비를 나타낸다. )
- 공극률vs실적률★
- mock-up test : 풍동시험의 근거로 실물모형을 만들어 건축물이 지어질 곳의 최악의 외기환경으로 커튼월공사의 성능을 평가하는시험 (기밀성능, 수밀성능, 구조성능 /// 소고기)
- 1방향슬래브, 2방향슬래브
1방향슬래브 = 장변길이 / 단변길이 > 2
2방향슬래브 = 단변길이 / 장변길이 <=2
- 바닥강화제 시공시 유의점
-5도이하가 되면 작업중지 / 액상바닥강화바탕은 최소 21일정도 양생해서 완전건조시킨다.
- BenchMark★★★
-공사 중 기준점을 잡기위해 설치하는 원점
-공사에 지장없는 위치에 설치한다. (지면에서 0.5m~1.0m에)
-이동의 염려가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.
-필요에따라 보조 기준점 1,2개 설치한다.
- TQC (total quality control) -히.파.각종.특성.체크.산.층
-히스토그램 : 데이터가 어떤분포를 하고있는지 알아보기위해 작성하는 그림
데이터수집 - 데이터최소,최대값 - 구간폭정하기 - 도수분포표작성 - 히스토그램작성 - 히스토그램과 규격값 대조하여 안정상태인지 검토
-파레토도 : 불량 등의 발생건수를 분류항목별로 나누어서 크기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그림
-특성요인도 : 결과에 원인어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그림
-체크시이트 : 데이터가 어디에 집중되어있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이나 표
-산점도 : 대응되는 두개의 짝으로 된 데이터를 그래표 용지위에 점으로 나타낸 그림
-층별 : 집단을 구성하고있는 데이터를 특징에 따라 몇개의 부분집단으로 나누는 것
-각종그래프
- 열가소성수지 : 아크릴수지, 염화비닐수지 / 열경화성수지 : 페놀수지(핸들, 주전자손잡이), 멜라민수지(접시류, 욕조)
- 드라이브핀 : 드라이핀이라는 일종의 못박기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, 강재 등에 박는 특수 못 / 머리가 달린것을 H형, 나사로 된 것을 T형
'ARCHITECTURE > 건축기사 202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.06.27.SAT - 2020.1회 (0) | 2021.06.27 |
---|---|
2021.06.26.SAT - 2020.2회 (0) | 2021.06.26 |
2021.06.20.SUN - 2020.04회 (0) | 2021.06.20 |
21.06.19.SAT - 2020.5회 건축기사 (0) | 2021.06.19 |
21.06.19.SAT - 2018. 1회 건축기사 (0) | 2021.06.19 |